심리학이론16 성격 구조 이론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성격 구조 이론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우리 마음의 세 가지 얼굴인 이드, 초자아, 자아. 사람은 성격은 무슨 구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어떻게 작동하는 것인지 알아보자.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트는 사람의 성격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와 같은 세 가지로 구성된다고 밝혔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은 각각 고유한 특징과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요소별로 추구하는 방향은 다르지만,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성격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상황과 환경에 의해 수많은 내적 갈등을 겪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면 며칠 동안 끼니를 제대로 먹지 못해 아주 허기지고 배고픈 상태에서 지나가다가 맛있는 냄새가 나는 음식을 팔고 있는 포장마차를 .. 2022. 11. 3. 꿈 Dream 꿈 Dream 무의식으로 향하는 지름길.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는 대표적인 저서 1899년 11월에 출간한 “꿈의 해석”일 만큼 꿈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고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쏟으며 연구에 매진했다. 왜냐하면 꿈은 무의식으로 가는 가장 쉬운 길로 가는 왕도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무의식으로 향할 수 있는 지름길인 꿈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꿈은 소망 충족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참 단잠에 빠진 사람이 목이 마른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잠에서 깨어나 바로 물을 마실까? 또는 너무 배가 고파서 참기 힘들다면 어떨까? 이런 여러 가지 상황과 환경에서 우리 개개인은 잠에 대한 욕구와 목이 마른 갈증, 또는 배고픈 허기짐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 속에 갇혀.. 2022. 10. 27. 목격자 기억 Eyewitness memory 목격자 기억 Eyewitness memory 과연 목격자의 기억을 전적으로 의지할 수 있을까? 우리는 가끔 기억나지 않는 과거의 일로 곤욕을 치르곤 한다. “그때 네가 나한테 못생겼다고 말해서 내가 얼마나 슬프고 상처받았는지 알아?” “어머, 무슨 소리야! 내가 언제 그런 말을 했어?” “네가 그랬잖아! 내가 분명히 기억하니까 오리발 내밀지 마!” 예전에 벌어진 일들 때문에 부모와 자식 사이에, 친구 사이에, 혹은 연인 사이에 일어나는 다툼이나 싸움은 끝이 없을 것이다. 모두 서로 “내 기억하는 바로는...”으로 시작하며 본인의 기억력에 의지해 입장을 주장하는데, 같은 일을 겪은 게 맞는 건지 의구심이 들 정도로 서로가 기억하는 일의 상황이 종종 달라 난처하기 때문이다. 도대체 뭐가 진실을 뭘까? 우리의.. 2022. 10. 12. 자기 실현적 예언 Self-fulfillment prophecy 자기실현적 예언 Self-fulfillment prophecy 믿음이 곧 현실을 만든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예를 들어보겠다. “직장 동료들에게 대화를 먼저 시작해보라고요? 제가요?” “네. 쉽지 않으시겠지만 한 번 도전해보세요. 가까이 앉아있는 주변 동료들에게 인사를 건네는 것부터 시작하면 어떨까요?” “동료들이 절 분명 싫어할 텐데요? 저는 못 해요. 사람들이 절 좋아하지 않아요.” 직장 동료뿐만 아니라 평소 인간관계로 고민하던 한 직장인은 본격적인 관계 개선을 위해 첫 시도를 제안하는 상담사의 의견에 당황하며 손사래를 쳤다. 그의 말인즉슨, 직장 동료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자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자신이 건네는 인사나 말을 먼저 걸게 되면 분명 무시하며 대꾸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2022. 10.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