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야기19 동조 Conformity 왜 우리는 모두가 "예"라고 할 때, "아니오"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걸까? 다수의 의견과는 반대되는 의견을자신감 있게 내놓는 게 왜 쉽지 않을까? 재미있는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직장인인 나는 점심을 먹기 위해 동료들과 한식집을 찾았다. 같이 온 사람들이 모두 순두부찌개를 먹겠다고 하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아마도 나 또한 순두부찌개를 주문할 것이다. 만약 된장찌개를 먹고 싶더라도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 혼자만 다른 메뉴를 먹겠다고 하기는 어렵다. 또 어떠한 의견에 대해 모두가 “YES”라고 할 때 나 혼자만 “NO”라고 말하기는 쉽지 않으며, 모두가 정장 바지를 고집할 때 나 혼자만 짧은 미니스커트를 태연하게 입기는 사실힘들다. 이처럼 우리는 집단에 소속되어 그 영향을 받아 대세에 따르고자.. 2022. 8. 27. 책임감의 분산 Diffusion of Responsibility 책임감의 분산이라는 이론을 설명하기에 앞서 한 가지 사건을 소개하고자 한다. 1964년 미국 뉴욕에서 모두가 놀라움을 금치 못할 끔찍한 살인사건이 벌어졌다. Kitty라는 28세의 평범한 여성이 주택가에서 잔혹하게 살해당할 동안 이를 목격한 이웃 주민들과 주변 사람들은 누구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결국은 그녀의 죽음을 막지 못한 사건이다. 살인자가 그녀를 잔인하게 살해하는 동안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분명 이웃 주민들은 살려달라고 간절하게 외치는 그녀의 목소리를 듣고 집 안의 불을 켜서 밖을 내다보고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었으며 피의자에게 그만하라고 소리를 치기도 했다. 그렇지만 정작 놀랍게도 누구도 그 살인자의 행위를 선뜻 막거나 신고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한다. 그 상황을 지켜보.. 2022. 8. 22. 사회적 촉진 Social Facilitation 사회적촉진 Social Facilitation 공부를 하려고 카페(혹은 스터디 카페)나 도서관에 가거나 운동하기 위해 헬스장에 가 본 적이 있는가? 단지 장소가 필요하다면 집에서 귀마개를 끼고 조용히 공부를 할 수도 있고 혹은 집에서 러닝머신을 하거나 동영상을 보며 홈트레이닝을 해도 될 텐데 말이다. 면학 분위기가 잘 잡힌 조용한 카페는 늘 자리를 맡으려는 사람들로 가득 차고 도서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줄을 선 사람들을 보면 분명 이유가 있지 않을까? 이것은 심리학 이론을 몰라도 사람들을 직감적으로 알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혼자 방 안에서 문을 닫고 공부하는 것보다는 같이 공부하는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을 때 더 효율이 오르고 혼자 거실에서 동영상이나 책을 보며 운동하는 것보다 운동하는 .. 2022. 8. 22. 이전 1 2 3 4 5 다음